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저는 작년 지능기전공학부 OO공학과 2학년 2학기까지 수료를 한 뒤 군 휴학을 하고 현재 군 복무를 하고 있는 OOO 이라고 합니다. 요즘 기말고사 시험 기간이라 바쁘시겠지만 여쭤볼 것들이 있어 메일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휴학생이라 지도 교수님이 없고, 또 아는 교수님도 몇 없지만 작년, 제작년 바쁘신 시간 내서 면담 해주신 최유경 교수님께 물어보는 것이 맞는 것 같아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저는 군 복무를 하고 있지만, 일과가 끝나면 남는 시간도 많고, 주말에는 개인적인 시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 시간을 이용하여 공부를 하려 하는데,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 지, 어떤 식으로 해야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역까지 1년 3개월 정도의 시간이 남았는데, 두 가지 정도의 공부를 생각 중입니다.
첫째는 복학 후 재수강을 할 강의나 3학년때 들을 강의를 공부하는 것 입니다. 제리 카플란의 인공지능의 미래라는 책이 유명하다고 하여 읽어 보았지만, 저는 이러한 추상적인 책 말고 컴퓨터 네트워크나 디지털 시스템 강의처럼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강의를 듣기 전읽으면 좋은 책들을 찾고 싶은데, 그런 강의들이 무슨 내용을 배우는지 몰라 어떠한 책으로 개념적인 지식을 쌓을 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둘째는 자격증 공부입니다. 저는 kt의 기가 지니라던가, lg나 삼성 등 대기업들이 개발 중인 AI 전자제품 등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 자연스럽게 목표도 그러한 회사의 인공지능 제품 개발 관련 부서로 가는 것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기업에 취직 하려면 저를 어필할 수 있는 자격증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하는데, 남들이 다 따려 하는 컴퓨터활용능력 1급 이런 것들이 제가 말한 기업들에 입사 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어떠한 자격증이 제가 입사하는데 플러스 점수가 되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여기에서는 개인 노트북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이라 코딩 보다는 책을 읽거나 자격증 공부 등에 중점을 맞추고 공부를 하려 합니다.
제가 드린 질문들이 조금 많지만, 시간이 걸려도 되니 시험 기간이 끝나고 천천히 답장 해주셔도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지능기전공학부 휴학생 OOO 드림.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
(답변 1) 3학년 강의들을 미리 공부하는 것은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차라리 재수강할 과목에 대한 복습을 통해 전공 기초 지식이 준비되어 돌아오는 것이 오히려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학점과 관련한 무언가를 하고 싶다면, 군 안에 있을 때 영어에 대한 기본 실력을 높이고, 졸업에 필요한 필수요건을 만족하는게 오히려 복학 이후 편할 겁니다. 고전독서는 군에 있을 때 마무리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한번 알아보세요. 생각보다 고전독서 졸업할때까지 힘들어 하는 친구들 많습니다.
(답변2) 공기업 준비 중이 아니라면 대기업을 위한 필수 자격증은 없습니다. 특히 직무능력을 입증하는 것과 거리가 먼 컴활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기타조언) 회사 입사를 위한 프로세스는 크게 1) 공개채용과 2)수시채용/상시채용/(경력채용) 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개채용의 경우 트랜드가 많이 바뀌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 요건은 학점과 영어 그리고 직무능력에 무게를 두는 편입니다. 하지만 수시채용과 상시채용은 공개채용과 달리 앞도적으로 직무능력이 가장 우선시 됩니다. 따라서 본인이 전공을 살려 회사 업무를 지속하고 싶다면, 실제로 졸업 이후 어떤 업무를 하고 싶은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게 좋아보입니다.
AI 전자 제품에 관심이 많다. 따라서 인공지능 제품 개발 관련 부서로 가고 싶다. 라는 표현은 너무 모호합니다. 실제로 인공지능 제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 스택을 이해하고 그 다양한 기술 스택 중 어떤 기술 스택을 쌓기 위해 이러한 노력을 해왔다 라는 것이 회사에서 일반적으로 원하는 자기소개서의 내용입니다. 예를 들면 이러합니다. 인공지능 스피커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분야별 엔지니어는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으나 우선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와 같이 나눌게요
스피커의 디자인을 설계하는 엔지니어
스피커의 회로를 설계하는 하드웨어 엔지니어
스피커의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 내기 위한 엔지니어
스피커의 펌웨어를 만들고 업데이트 하는 펌웨어 엔지니어
스피터의 인지능력을 높이는 SW엔지니어 (보통 모델러 라고 하죠. 물론 AI SW엔지니어도 여러가지 스택으로 다시 니눠집니다. )
스피커의 사용자 SW제어를 위한 앱(안드로이드/ios)을 만들어 배포하는 SW 엔지니어 (보통 프론트 엔지니어라고 하죠)
스피커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서빙하는 서버엔지니어 (보통 백엔드 엔지니어라고 하죠)
하나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만들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다양한 엔지니어가 필요합니다. 한번이라도 이렇게 스스로 이와같이 기술을 나누고 본인이 어떤 분야를 하고 싶은지 고민해 본적이 있나요? 없다면, 늦지 않았으니 고민해보세요. 그리고 정했다면, 그때부터는 해당 기술 스택을 보유하기 위해 쭉 노력하시면 되는 겁니다. 제품에 대한 기술 스택은 제품마다 서로 상이하며, 학부를 마쳤을 때 제품에 대한 기술 스택을 스스로 나눌줄 알고 본인이 희망하는 분야를 위한 전문성이 확보되었다면 회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인재가 될 겁니다. 여유가 있을 때 졸업 이후 본인이 어떤 기술 스택을 쌓고 어떤 엔지니어가 될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작년 지능기전공학부 OO공학과 2학년 2학기까지 수료를 한 뒤 군 휴학을 하고 현재 군 복무를 하고 있는 OOO 이라고 합니다. 요즘 기말고사 시험 기간이라 바쁘시겠지만 여쭤볼 것들이 있어 메일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휴학생이라 지도 교수님이 없고, 또 아는 교수님도 몇 없지만 작년, 제작년 바쁘신 시간 내서 면담 해주신 최유경 교수님께 물어보는 것이 맞는 것 같아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저는 군 복무를 하고 있지만, 일과가 끝나면 남는 시간도 많고, 주말에는 개인적인 시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 시간을 이용하여 공부를 하려 하는데,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 지, 어떤 식으로 해야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역까지 1년 3개월 정도의 시간이 남았는데, 두 가지 정도의 공부를 생각 중입니다.
첫째는 복학 후 재수강을 할 강의나 3학년때 들을 강의를 공부하는 것 입니다. 제리 카플란의 인공지능의 미래라는 책이 유명하다고 하여 읽어 보았지만, 저는 이러한 추상적인 책 말고 컴퓨터 네트워크나 디지털 시스템 강의처럼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강의를 듣기 전읽으면 좋은 책들을 찾고 싶은데, 그런 강의들이 무슨 내용을 배우는지 몰라 어떠한 책으로 개념적인 지식을 쌓을 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둘째는 자격증 공부입니다. 저는 kt의 기가 지니라던가, lg나 삼성 등 대기업들이 개발 중인 AI 전자제품 등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 자연스럽게 목표도 그러한 회사의 인공지능 제품 개발 관련 부서로 가는 것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기업에 취직 하려면 저를 어필할 수 있는 자격증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하는데, 남들이 다 따려 하는 컴퓨터활용능력 1급 이런 것들이 제가 말한 기업들에 입사 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어떠한 자격증이 제가 입사하는데 플러스 점수가 되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여기에서는 개인 노트북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이라 코딩 보다는 책을 읽거나 자격증 공부 등에 중점을 맞추고 공부를 하려 합니다.
제가 드린 질문들이 조금 많지만, 시간이 걸려도 되니 시험 기간이 끝나고 천천히 답장 해주셔도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지능기전공학부 휴학생 OOO 드림.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